부동산 어플 시장
인간 가장중요한 기본 요소 중 하나인 주거 문제는 정부가 해결해야 할 가장 주요한 현안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주택매매가격 및 거래량 상승이 장기간 이어지면서 부동산 시장에 대한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TV에서는 ‘구해줘! 홈즈’, ‘서울엔 우리집이 없다’, ‘Bye Seoul 여기, 살래?!’ 등 집과 부동산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보여주는 ‘집방(집+방송)’ 방송들이 호응을 얻었으며, 디지털 시장에서는 스타트업, 금융사 등이 주축이 되어 부동산 소식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여 ‘프롭테크(Property+Tech)’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1인 가구나 딩크족이 늘어나면서 작은 원룸이나 오피스텔 이사를 앞두고 있는 수요층이 많아지고 있는 추이입니다.
특히 청년층에게 전월세 매물 정보를 제공하여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 시장을 선점한 ‘다방’에서 이러한 시즈널리티는 더욱 뚜렷하게 확인 되었습니다. 한편, 2020년 매매 시장이 각광받기 시작하면서 아파트 실거래가 위주의 정보를 서비스하는 ‘호갱노노’가 성장하며 그 뒤를 바짝 쫓고 있습니다. ‘호갱노노’는 ‘다방’과 달리 시즌과 다소 무관한 상승 곡선을 그렸습니다. 그동안 부동산 서비스 시장에서 ‘다방’과 같은 어플로 이사할 집을 구하기 위해 ‘발품’ 대신 ‘손품’을 파는 이용 방식이 주를 이루었다면, 최근에는 자산 관리 측면에서 부동산 플랫폼에 일상적으로 접근하고 정보를 탐색하는 등 서비스 활용 목적이 확장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또한 ‘직방’, ‘다방’, ‘청약홈’의 경우, 월 평균 2.6~3.9일, 특정한 1개 주간에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행태가 두드러진 반면, ‘호갱노노’, ‘네이버 부동산’은 그보다 높은 4.9~5.9일 활용되었으며 월 4주 이상 연속적으로 활용한 사람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방과 같은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이의 단점으로는 허위 매물의 오남용 입니다. 허위 매물의 유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첫번째는 실 거래 가능 매물 없는 경우가 대표적으라 할 수 있으며, 방문 혹은 계약시, Mobile App의 게시물과는 확연히 다른 조건과 많은 차이점이 나는 경우를 들 수 있습니다. 부동산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게시물의 사진으로는 굉장히 넓어 보였는데, 실제로는 터무니 없이 작은 컨디션이라던지, 게시물 상에서 제공한다고 하였던 옵션 사항들이 실제로는 사정에 의해 받을 수 없는 일들이 자주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이렇듯 어플에서 확인했던 내용과 컨디션 사항이 맞는지 사전에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며, 옵션과 같은 요소도 꼼꼼하게 체크하는 원칙을 갖어야 할 것입니다.
부동산 어플 이용요령
부동산을 알아볼 때, 옛날 방식대로 직접 거래를 하는 경우가 더러 있습니다. 부동산 직거래로 유명한 ‘피터팬의 좋은 방 구하기’나 그 외 소호 커뮤니티를 통해 직접 개인 간 거래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은 직거래는 매물 가격이 시세보다 저렴한 경우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보통 개인 매물의 경우, 급하게 이사를 가야 해서 원룸 오피스텔을 급매로 내놓거나, 건물 주인이 부동산을 중간에 끼지 않고 직접 임대를 내놓은 경우, 그리고 간혹 집을 오래 비워 두는 분들의 매물이 이전의 시세보다 저렴하게 전대차 계약건도 나올 수 있습니다. 직장 때문에 단기로 잠깐 임대하는 수요자들에게는 나쁘지 않은 거래가 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알아보기도 하지만, 개인간 거래는 문제 발생시 법적 보장이 매우 힘들거나 복잡하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부동산 어플 연령대별 순위
부동산 Mobile App 이용 순위를 연령대별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동일 카테고리에서도 생애 주기에 따라 관심을 갖고 활용하는 App이 상이하게 나타났습니다. 20대는 유일하게 ‘다방’ 외에도 ‘직방’, ‘피터팬의 좋은방 구하기’와 같이 원룸·투룸 임대 매매 확인, 직거래 등을 제공하는 어플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였습니다. 반면, 30대 이상은 ‘호갱노노’, ‘네이버 부동산’, ‘청약홈’과 같이 아파트 주택 거래 중심, 혹은 포털과 같이 네임밸류를 갖춘 서비스가 상위권에 자리하였습니다. 나이대에 따라 어플의 특성에 따라 활용 빈도가 달라지며, 그에 따라 트렌드도 변화하는 것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